반응형 Python69 [Python] 백준 10818번: 최소, 최대 코드 n = int(input()) num = list(map(int, input().split())) print(min(num), max(num)) 설명 n에 정수의 개수를 입력받는다. num에 정수를 공백으로 입력받아서 list로 감싸준다. min과 max를 통해 리스트에 최소와 최대를 출력할 수 있다. 2023. 2. 2. [Python] 백준 10871번: X보다 작은 수 코드 n, x = map(int, input().split()) num = list(map(int, input().split())) for i in range(n): if num[i] < x: print(num[i], end=' ') 설명 n과 x를 입력받는다. num에는 int형식으로 공백을 기준으로 나눠서 입력받은 것을 리스트로 감싸준다. 반복문을 통해 입력받은 n값만큼 반복한다. num[i]를 통해 리스트의 첫번째부터 마지막까지 확인할 수 있다. num[i]가 x보다 작으면 print()함수를 통해 해당 num[i]가 출력되도록한다. 공백을 두고 출력하기 위해 end= 를 통해 마지막은 공백으로 출력시켜준다. 2023. 2. 2. [Python] 백준 10807번: 개수 세기 코드 a = int(input()) num = list(map(int, input().split())) x = int(input()) print(num.count(x)) 설명 a에 정수의 개수 N을 입력받는다. num에 int타입으로 입력받은 후 split()을 통해 공백으로 나눠준다. 그리고 list로 감싸서 리스트 형식으로 만들어준다. x 에 찾을 값을 입력한다. num인 리스트 안에서 count를 통해 x의 개수가 몇 개인지 확인한다. 2023. 2. 2. [Python] 백준 1110번 : 더하기 사이클 코드 n = int(input()) num = n count = 0 while True: a = n // 10 b = n % 10 c = (a+b) % 10 n = (b * 10) + c count += 1 if num == n: break print(count) 설명 n에 입력값을 받는다. 숫자를 더하다가 입력값이 됐을 때 멈춰야하기 때문에 num에 입력 값을 저장해둔다. 숫자의 앞자리는 n을 10으로 나눈 몫으로 계산한다. 변수 a에 넣는다. 숫자의 뒷자리는 n을 10으로 나눈 나머지를 가져온다. 변수 b에 넣는다. 앞자리와 뒷자리를 더한 값에 뒷자리를 가져와야하기 때문에 a와 b를 더한 후 10으로 나눈 나머지를 가져오면 뒷자리를 가져오게 된다. 변수 c에 넣는다. n은 기존 입력값 뒷자리였던 b에.. 2023. 2. 2.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