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ython69 [Python] 백준 1546번: 평균 코드 n = int(input()) n_list = list(map(int, input().split())) total = 0 for i in n_list: a = i / (max(n_list)) * 100 total += a print(total/n) 설명 시험 본 과목의 개수를 n에 입력받는다. 과목의 성적을 n_list에 map을 통해 int형식으로 input()을 받고 split()함수를 통해 공백으로 나눠준다. 그리고 list로 감싸서 list형식으로 만들어준다. 점수의 평균을 구하기 위해 total의 기본 값을 0으로 설정해준다. 반복문으로 n_list를 입력하면 리스트 안에 있는 요소들을 읽어올 수 있다. a변수에 i를 통해 리스트 안에 요소들을 하나씩 순서대로 불러오고 max()함수를 통해.. 2023. 2. 5. [Python] 백준 3052번: 나머지 코드 n_list = [] for i in range(10): n = int(input()) n = n % 42 n_list.append(n) print(len(set(n_list))) 설명 n_list 변수에 빈 리스트를 하나 생성한다. 10개의 숫자를 입력받으니 반복문으로 10번 반복해서 int형으로 입력받고 그 값을 42로 나눈 나머지를 n_list에 넣는다. set()함수를 통해서 리스트 안에 있는 중복되는 숫자들을 모두 없애준다. 리스트에 남아있는 숫자들이 몇 개 있는지 len()함수를 통해 개수를 파악한다. 2023. 2. 4. [Python] 백준 5597번: 과제 안 내신 분..? 코드 student = [i for i in range(1, 31)] for i in range(28): num = int(input()) student.remove(num) print(min(student)) print(max(student)) 설명 student라는 변수에 반복문을 통해서 1부터 30까지 30명의 학생 번호를 넣어둔다. 28명이 제출했으니 반복문을 통해 28번을 반복해서 제출한 학생의 번호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입력받은 번호를 remove()함수를 통해 student리스트에서 제거한다. 반복문을 마친 후 남아있는 리스트에서 min()함수와 max()함수를 통해 student리스트 안에 있는 최소와 최대를 출력한다. 2023. 2. 4. [Python] 백준 2562번: 최댓값 코드 num = [] for i in range(9): n = int(input()) num.append(n) print(max(num)) print(num.index(max(num))+1) 설명 입력값을 리스트로 받아주기 위해 빈 리스트를 생성한다. 9개의 서로 다른 자연수가 주어진다고 했으니 반복문을 통해 9번의 반복을 해준다. 반복문마다 숫자를 입력받고 그 숫자를 리스트에 추가한다. max()함수를 통해서 리스트 안에 있는 최댓값을 출력한다. index()함수를 통해 리스트 안에 숫자가 몇 번째에 있는지 알 수 있다. index()안에 인자를 max(num)으로 주면 알아서 최댓값의 숫자가 몇 번째인지 알 수 있다. 파이썬은 순서가 0부터 시작이므로 마지막에 +1 을 통해 1을 늘린 순서를 출력한다. 2023. 2. 4.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