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ython69 [Python] 백준 2675번: 문자열 반복 코드 n = int(input()) for i in range(n): num, s = input().split() for it in s: print(it * int(num), end='') print() 설명 반복할 횟수를 n에 입력받는다. 입력받은 n만큼 반복하면서 반복할 횟수와 문자를 입력받는다. 문자열을 반복문 시키면서 글자를 하나씩 읽어들인다. 문자열과 숫자를 곱하면 그 수만큼 문자가 출력되기 때문에 같이 입력받았던 num을 정수형으로 만들어주고 문자열과 숫자를 곱하면 그 숫자만큼 반복된 문자가 나온다. 문자가 이어져야하기 때문에 end=''으로 한다. 그리고 마지막에 최종으로 출력시키면 된다. 2023. 2. 9. [Python] 백준 10809번: 알파벳 찾기 코드 s = input() spelling = 'abcdefghijklmnopqrstuvwxyz' for i in spelling: if i in s: print(s.index(i), end=' ') else: print(-1, end=' ') 설명 s에 문자를 입력받는다. 알파벳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spelling에 알파벳 순서를 입력한다. 반복문을 통해 알파벳들의 순서를 하나씩 대조해본다. if문을 통해 만약 i에 있는 문자가 입력받은 s에 있다면 index()를 통해 입력받은 s에 해당하는 문자가 몇 번째 있는지 출력한다. spelling을 반복하면 문자열 순서대로 i에 a부터 들어올 것이다. a는 입력값 s에 있으니 s.index('a'))이렇게 입력이 된다. 그러면 baekjoon에서 a는 0.. 2023. 2. 8. [Python] 백준 11720번: 숫자의 합 코드 n = int(input()) n_list = input() total = 0 for i in n_list: total += int(i) print(total) 설명 n에 숫자의 개수를 입력받고 n_list에 숫자n개를 입력받는다. 이 때 n_list는 문자열형태로 입력받는다. 전체를 계산할 변수를 하나 만들어서 0으로 지정해준다. 반복문에 n_list를 넣으면 문자를 하나씩 읽어들이니 숫자를 하나씩 읽는다고 생각하면 된다. 그 숫자를 정수형으로 바꾸고 total에 모두 더해주면 모든 값들의 합이 된다. 2023. 2. 8. [Python] 백준 11654번: 아스키 코드 코드 n = input() print(ord(n)) 설명 ord() 함수는 문자를 아스키 코드로 chr()함수는 아스키 코드를 문자로 바꿔준다. 이 함수를 이용해 문자를 입력받아 아스키 코드로 바꿀 수 있다. 2023. 2. 7.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