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함수4 [Python] 함수 정리 함수 정의하기 파이썬에서는 함수의 입력값을 전달값이라고 하고, 출력값을 반환값이라고 한다. 파이썬 함수는 전달값, 반환값에 동작까지 포함해 3가지 요소로 이뤄진다. def 함수명(): 실행할 문장1 실행할 문장2 ... 실습: 은행 계좌 개설하기 def open_account(): print('새로운 계좌를 개설합니다.') open_account() >> 새로운 계좌를 개설합니다. 전달값과 반환값 def 함수명(전달값1, 전달값2, ...): 실행할 문장1 실행할 문장2 ... return 반환값1 실습: 입금하기 def open_account(): print('새로운 계좌를 개설합니다.') open_account() def deposit(balance, money): print(f'{money}원을 입.. 2023. 3. 22. [Python] 문자열 다루기 문자열이란? 문자열은 문자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sentence1 = '나는 소년입니다.' print(sentence1) sentence2 = "파이썬은 쉬워요." print(sentence2) sentence3 = ''' 나는 소년이고, 파이썬은 쉬워요. ''' 실행 결과만으로는 문자열인지 확인하기 어렵다. type()을 사용해 문자열인지 확인할 수 있다. print(type(sentence1)) print(type(sentence2)) >> >> >> 원하는 만큼 문자열 자르기: 슬라이싱 파이썬에는 슬라이싱이라는 방법으로 원하는 만큼 데이터를 자를 수 있다. 슬라이싱을 사용하려면 먼저 인덱스를 알아야 한다. 여러 문자로 구성된 문자열의 n번째 문자(또는 데이터)라고 할 때, n번째가 바로 인덱스이다... 2023. 3. 18. [파이썬 기초] Functions : 함수, 모듈 파이썬 함수 파이썬 함수는 재사용 가능한 코드 블록이다. 이름을 통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함수로 만들 수 있다. 함수에는 다음과 같은 기능이 있다. 파라미터를 통해 필요한 값을 전달할 수 있다. 파라미터를 통해 기본값을 넣어줄 수 있다. 파라미터의 순서 상관없이 직접 지정을 통해 입력 가능하다. return을 통해 값을 반환받을 수 있다. def print_name(name, age): print(f'내 이름은 {name}이고 {age}살이야') print_name('홍길동', 25) print_name('김길동', 15) 파라미터를 통해 필요한 값을 줄 수 있다. * 입력 인자 개수와 파라미터 개수가 같아야 한다. def print_name(name, age=11): print(f'내 이름은 {nam.. 2023. 2. 12. [Python] 백준 15596번: 정수 N개의 합 코드 def solve(a): return sum(a) 설명 a에 들어오는 input 값은 리스트라고 되어 있기 때문에 sum()함수를 통해서 리스트 요소들의 값들을 모두 더해준다. 바로 return sum(a)를 통해 들어오는 input들의 합을 계산해서 반환할 수 있다. 2023. 2. 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