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97

[Python] 백준 1264번: 모음의 개수 코드 while True: n = input() count = 0 if n == '#': break for i in n: if i in 'aeiouAEIOU': count += 1 print(count) 설명 입력은 #이 와야 끝나기 때문에 while문으로 #이 나올 때까지 입력을 계속 받는다. 모음의 개수를 세기 위해서 count라는 변수를 0으로 지정해준다. 입력받은 문자에 모음이 몇 개 있는지 세어보기 위해서 반복문에 입력값을 넣어주면 하나씩 읽는다. 만약 한글자씩 일어봤을 때 거기에 모음이 있다면 count를 1 늘린다. 반복문이 끝난 상태에서 count를 출력하면 그 문장의 모음 개수가 나오고 다시 while으로 돌아가서 문자를 입력받는다. 2023. 2. 17.
[Python] 백준 2741번: N 찍기 코드 n = int(input()) for i in range(1, n+1): print(i) 설명 N을 입력받는다. 반복문을 통해 n번 반복하는데 그냥 n을 넣으면 0부터 4까지 반복되기 때문에 range(시작, 끝) 여기에 1부터 n+1을 통해 5까지 나오도록 지정하고 반복문 안에서 print()함수를 통해 i를 출력한다. 2023. 2. 17.
[Python] 백준 2738번 : 행렬 덧셈 코드 a, b = [], [] N, M = map(int, input().split()) for i in range(N): row = list(map(int, input().split())) a.append(row) for i in range(N): row = list(map(int, input().split())) b.append(row) for x in range(N): for y in range(M): print(a[x][y] + b[x][y], end=' ') print() 설명 a, b에 행렬을 받을 리스트를 만들어준다. N, M에 행렬의 크기를 입력받는다. 반복문을 통해 N만큼 반복하여 list형태로a,b에 행렬의 원소들을 입력받는다. 이중반복문을 통해 모든 행렬을 돈다. xy 좌표를 통해 행.. 2023. 2. 16.
[Python] 백준 2558번: A+B-2 코드 a = int(input()) b = int(input()) print(a+b) 설명 첫째 줄에 a를 둘째 줄에 b를 입력받는다. +연산자를 이용하여 두 수를 더한다. print()함수를 통해 두 수를 더한 결과를 출력한다. 2023. 2. 16.
[Python] 백준 2475번: 검증수 코드 n_list = list(map(int, input().split())) total = 0 for i in n_list: total += i * i print(total % 10) 설명 입력값을 리스트로 받는다. 전체 합산 값을 구하기 위해 total이라는 변수를 0으로 지정해둔다. n_list를 반복문으로 안에 있는 요소들을 읽어들인다. 안에 있는 요소와 요소를 곱해서 제곱을 시킨 후 total에 더해서 합산한다. 총 total계산된 값과 %연산자를 사용해서 나머지를 구한다. 2023. 2. 16.
[Python] 백준 2420번: 사파리월드 코드 a, b = map(int, input().split()) print(abs(a-b)) 설명 a와 b를 map()함수를 통해 int형식 input()값을 split()를 통해 공백을 기준으로 나눠준다. print()함수를 통해 a-b를 출력하되 abs()함수로 절대값을 줄 수 있다. 2023. 2. 15.
[Python] 백준 2338번: 긴자리 계산 코드 a = int(input()) b = int(input()) print(a+b) print(a-b) print(a*b) 설명 첫째 줄에 a, 둘째 줄에 b를 입력받아야하니 각각 input()으로 입력받는다. print()함수를 통해 a+b, a-b, a*b 를 출력한다. 2023. 2. 15.
[Python] 백준 1271번: 엄청난 부자2 코드 a, b = map(int, input().split()) print(a // b) print(a % b) 설명 map()함수를 이용해서 형식은 정수형 input()함수로 입력값을 split()함수를 통해 공백으로 나눠준다. 이것을 a와 b에 입력받는다. // 연산자를 이용해서 몫을 출력하고 %를 이용해서 나머지를 출력한다. 2023. 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