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97 [Python] 백준 1592번: 영식이와 친구 코드 N, M, L = map(int, input().split()) n_list = [] for i in range(N): n_list.append(0) a = 0 count = 0 while True: n_list[a % N] += 1 if n_list[a % N] == M: print(count) break count += 1 a += L 설명 인원수 N, 공을 M번 받으면 끝나는 횟수 M, 다음 공이 몇 번째 옆으로 전달될 숫자 L 을 입력받는다. 각 인원수가 몇 번의 공을 받았는지 세기위해서 빈 리스트를 만들어서 N번만큼 반복하여 0으로 차있는 N개 요소가 들어있는 리스트를 만든다. 숫서를 돌리기 위해 a를 0으로 만들어놓고 몇 번 돌아갔는지 세기 위하여 count를 0으로 만들어 놓는다. wh.. 2023. 2. 26. [Python] 백준 2839번: 설탕 배달 코드 n = int(input()) if n % 5 == 0: print(n // 5) else: num = 0 while n > 0: n -= 3 num += 1 if n % 5 == 0: num += n//5 print(num) break elif n == 1 or n == 2: print(-1) break elif n == 0: print(num) break 설명 설탕의 무게를 입력받는다. 5kg로 나눌 수 있다면 그게 가장 낮은 수이기 때문에 if n을 5로 나눴을 때 0이라면 n을 5로 나눈 몫을 출력한다. 그게 아니라면 3kg의 무게인 num을 0으로 만들어놓고 while문을 돌려서 n이 0보다 클 때 무한 반복을 돌린다. 3kg의 무게를 추가해야하니 n에서 3kg씩 빼고 num은 1개씩 늘린.. 2023. 2. 26. [Python] 백준 1964번: 오각형, 오각형, 오각형... 코드 n = int(input()) a = 5 b = 7 for i in range(1, n): a += b b += 3 print(a % 45678) 설명 몇 단계인지 입력을 받는다. 처음 오각형은 점이 5개다. 다음 단계에서 늘어나는 점의 개수는 7개이다. 단계가 늘어날 때마다 늘어나는 점의 개수가 3개씩 증가한다. a에 오각형의 점의 개수 b에 늘어나는 점의 개수 반복문으로 a에 b만큼 더해주고 b는 늘어나는 점의 개수인 3만큼 더해준다. a를 45678로 나눈 나머지를 출력한다. 2023. 2. 25. [Python] 백준 1712번: 손익분기점 코드 A, B, C = map(int, input().split()) if C 2023. 2. 24. [Python] 백준 1550번: 16진수 코드 print(int(input(), 16)) 설명 int()에 있는 내장함수를 쓰면 자동으로 10진수로 변환해준다. 2023. 2. 23. [Python] 백준 1297번: TV 크기 코드 D, H, W = map(int, input().split()) r = D / ((H ** 2 + W ** 2) ** 0.5) print(int(H * r), int(W * r)) 설명 TV의 대각선길이와 높이 비율, 너비 비율을 입력받는다. 대각선의 비율을 계산한다. 높이와 대각선의 비율을 곱하고 소수점이 나오지 않도록 정수형으로 입력해주면 된다. 2023. 2. 22. [Python] 백준 2914번: 저작권 코드 A, I = map(int, input().split()) print(A*(I-1)+1) 설명 앨범에 수록된 곡의 개수와 평균값을 입력받는다. 적어도 몇 곡이 저작권이 있는 멜로디인지 물어봤기때문에 평균에서 1을 뺀 값을 A와 곱해서 멜로디의 개수를 구하고 마지막에 +1을 해주면 된다. 2023. 2. 22. [Python] 백준 2857번: FBI 코드 n_list = [] for i in range(1, 6): n = input() if 'FBI' in n: n_list.append(i) if n_list: print(*n_list) else: print('HE GOT AWAY!') 설명 빈 리스트를 하나 생성한다. 반복문을 통해 입력을 받는다. 그 입력값 중에 FBI가 있으면 n_list에 번호를 넣는다. 번호를 넣어야하기 때문에 반복문의 범위는 (1, 6)이 된다. 만약 n_list에 값에 있다면 n_list를 출력한다. 리스트 앞에 *을 붙이고 출력을 하면 대괄호가 사라지고 내부에 있는 요소들만 출력하게 된다. n_list안에 값이 없다면 'HE GOT AWAY!'를 출력한다. 2023. 2. 22. 이전 1 2 3 4 5 6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