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97

[Python] 제어문 정리 조건이 하나일 때: if 문 if 조건: 실행할 명령 weather = '비' if weather == '비': # 대입 연산자(=)가 아닌 비교 연산자(==) 사용 print('우산을 챙기세요.') >> 우산을 챙기세요. 조건이 여러 개일 때: elif 문 if 조건1: 실행할 명령1 elif 조건2: 실행할 명령2 elif 조건3: 실행할 명령3 ... weather = '미세먼지' if weather == '비': print('우산을 챙기세요.') elif weather == '미세먼지': print('마스크를 챙기세요.') >> 마스크를 챙기세요. 모든 조건에 맞지 않을 때: else 문 if 조건1: 실행할 명령1 elif 조건2: 실행할 명령2 elif 조건3: 실행할 명령3 ... else:.. 2023. 3. 19.
[Python] 자료구조 정리 리스트 리스트 생성하기 변수마다 값을 하나씩 넣었던 것과 달리 리스트는 값을 여러 개 넣을 수 있다. 하나의 변수가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었다면 하나의 리스트는 여러 값을 가질 수 있다. 각 값의 자료형은 다를 수 있다. subway = [10, 20, 30] print(subway) 이렇게 하면 subway1, subway2, subway3 변수를 사용할 필요 없이 리스트 하나에 저장할 수 있다. 값 추가/삽입/삭제하기 문자열에서 인덱스는 데이터의 위치를 나타냅니다. 리스트에서도 인덱스로 리스트에 저장한 데이터의 위치를 표시합니다. subway = ['푸', '피글렛', '티거'] print(subway.index('피글렛')) # 피글렛이 몇 번째 칸에 탔는가? >> 1 append() 함수는 리스.. 2023. 3. 19.
[Python] 문자열 다루기 문자열이란? 문자열은 문자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sentence1 = '나는 소년입니다.' print(sentence1) sentence2 = "파이썬은 쉬워요." print(sentence2) sentence3 = ''' 나는 소년이고, 파이썬은 쉬워요. ''' 실행 결과만으로는 문자열인지 확인하기 어렵다. type()을 사용해 문자열인지 확인할 수 있다. print(type(sentence1)) print(type(sentence2)) >> >> >> 원하는 만큼 문자열 자르기: 슬라이싱 파이썬에는 슬라이싱이라는 방법으로 원하는 만큼 데이터를 자를 수 있다. 슬라이싱을 사용하려면 먼저 인덱스를 알아야 한다. 여러 문자로 구성된 문자열의 n번째 문자(또는 데이터)라고 할 때, n번째가 바로 인덱스이다... 2023. 3. 18.
[Python] 연산자 정리 연산자의 종류 산술 연산자 + 연산자 왼쪽과 오른쪽 더하기 - 연산자 왼쪽에서 오른쪽 빼기 * 연산자 왼쪽과 오른쪽 곱하기 / 연산자 왼쪽을 오른쪽으로 나누기 print(1 + 1) print(3 - 2) print(5 * 2) print(6 / 3) >> 2 >> 1 >> 10 >> 2.0 나누기 결과는 정수 2가 아닌 실수 2.0으로 표시된다. 나누기 결과로 정수가 나오기를 바란다면 / 대신 6 // 3과 같이 // 연산자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print(2 ** 3) print(10 % 3) print(10 // 3) >> 8 >> 1 >> 3 ** 연산자 왼쪽을 오른쪽만큼 거듭제곱 % 연산자 왼쪽을 오른쪽으로 나눈 나머지 // 연산자 왼쪽을 오른쪽으로 나눈 몫 비교 연산자 > 연산자 왼쪽이 오.. 2023. 3. 17.
[Python] 자료형과 변수 숫자 자료형 수에는 1,2,3과 같은 정수도 있고 1.2, 3.14와 같은 실수도 있다. 이렇게 숫자로 된 데이터를 숫자 자료형이라고 한다. print(-10) print(3.14) print(1000) 연산자(+, -, *, /)를 넣어서 사칙연산이 가능하다. print(5 + 3) print(2 * 8) print(6 / 3) print(3 * (3 + 1)) 문자열 자료형 파이썬에서 문자열을 작은따옴표('')나 큰따옴표("")감싸야 한다. print('나비') print('10') print('파이썬' * 3) 문자열을 감쌀 때 작은따옴표는 작은따옴표끼리, 큰따옴표는 큰따옴표끼리 사용해야한다. 불자료형 예, 아니요 둘 중 하나로만 답이 나올 때 불(boolean)이라는 자료형을 사용한다. 불자료형은.. 2023. 3. 10.
[Pytorch] 딥러닝 학습시키기 기초 연습 1. 데이터셋 준비 파이토치에서 제공하는 데이터셋 사용 import torchvision.transforms as transforms mnist_transform = transforms.Compose([ transforms.ToTensor(), transforms.Normalize((0.5,), (1.0,)) ]) # 평균이 0.5, 표준편차가 1.0이 되도록 데이터의 분포(normalize)를 조정 from torchvision.datasets import MNIST import requests download_root = './dataset' # 내려받을 경로 지정 train_dataset = MNIST(download_root, transform=mnist_transform, train=True, .. 2023. 3. 3.
[Pytorch] 커스텀 데이터셋 만들기 커스텀 데이터셋을 만들어서 사용 딥러닝은 기본적으로 대량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델을 학습시킨다. 하지만 데이터를 한 번에 메모리에 불러와서 훈련시키면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이지 않다. 따라서 데이터를 한 번에 다 부르지 않고 조금씩 나누어 불러서 사용하는 방식이 커스텀 데이터셋(custom dataset)이다. CustomDataset 클래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형태를 취해야 한다. class CustomDataset(torch.utils.data.Dataset): def __init__(self): # 필요한 변수를 선언하고, 데이터셋의 전처리를 해주는 함수 def __len__(self): # 데이터셋의 길이, 총 샘플의 수를 가져오는 함수 def __getitem__(self, i.. 2023. 3. 3.
[Python] 백준 14696번: 딱지놀이 코드 n = int(input()) for i in range(n): a = list(map(int, input().split())) b = list(map(int, input().split())) del a[0], b[0] a.sort(), b.sort() if a == b: print('D') elif a.count(4) > b.count(4): print('A') elif a.count(4) b.count(3): print('A') elif a.count(3) b.count(2): print('A') elif a.count(2) < .. 2023. 2.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