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97 백준 10926번 : ??! [Python] 코드 print(input().lower() + '??!') 설명 input() 함수로 입력을 받는다. 입력받은 문자 중에 대문자가 있다면 lower() 함수를 통해 소문자로 바꿔준다. ??!를 항상 출력해주기 위하여 문자열로 감싼 '??!' 를 더해준다. 출력을 위해 print()를 이용하여 전체를 감싸준다. 2022. 12. 28. 백준 10869번 : 사칙연산 [Python] 코드 A, B = input().split() print(int(A) + int(B)) print(int(A) - int(B)) print(int(A) * int(B)) print(int(A) // int(B)) print(int(A) % int(B)) 설명 input() 함수로 A와 B의 값을 입력받는다. split()으로 공백을 기준으로 A와 B를 나눈다. A와 B를 int(정수)로 지정해준 후 print()로 감싸서 출력해준다. 덧셈은 + 뺄셈은 - 곱셈은 * 몫을 구하는 // 나머지를 구하는 % 를 각 상황에 맞게 입력해준다 2022. 12. 28. 백준 1008번 [Python] 나눗셈 코드 A, B = input().split() print(int(A) / int(B)) 설명 input() 함수로 A와 B의 값을 입력받는다. split()으로 공백을 기준으로 A와 B를 나눈다. A와 B를 int(정수)로 지정해준 후 나눗셈을 해준다. print()로 감싸서 출력해준다. 2022. 12. 28. 백준 10998번 : AxB [Python] 곱셈 코드 A, B = input().split() print(int(A) * int(B)) 설명 input() 함수로 A와 B의 값을 입력받는다. split()으로 공백을 기준으로 A와 B를 나눈다. A와 B를 int(정수)형태로 지정해준 후 곱셈을 해준다. print()로 감싸서 출력해준다. 2022. 12. 28. 백준 1001번: A-B 파이썬 정수 차 구하기 코드 A, B = input().split() print(int(A) - int(B)) 설명 input() 함수로 A와 B의 값을 입력받는다. split()으로 공백을 기준으로 A와 B를 나눈다. A와 B를 int(정수)형태로 지정해준 후 A와 B를 빼준다. print()로 감싸서 출력해준다. 2022. 12. 28. 백준 1000번 파이썬 덧셈, split A, B = input().split() # input()함수로 A와 B를 입력받는다. split()함수로 나누어 A,B 변수에 저장함. print(int(A) + int(B)) # int() 함수로 A와 B를 정수로 변환. 두 수를 더함. input()함수로 A와 B를 입력받는다. split()함수로 나누어 A,B 변수에 저장함. int() 함수로 A와 B를 정수로 변환. 두 수를 더함. 2022. 12. 27. 백준 2557번 print print('Hello World!') print문을 사용하여 문자를 출력할 수 있다. 2022. 12. 27. U-Net Paper 우선 U-Net은 Biomedical 분야에서 이미지 분할(Image Segmentation)을 목적으로 제안된 Fully-Convolutional Network기반 모델이다. 오토인코더(autoencoder)와 같은 인코더-디코더(encoder-decoder)기반 모델. Image Segmentation 혹은 Semantic Segmentaion이라 불리는 영역의 베이스가 되는 논문이며, 지금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Semantic Segmentaion은 다음과 같은 일을 한다. 왼쪽의 이미지를 받아 오른쪽과 같이 객체의 class로 구분합니다. Semantic Segmentation은 ‘인물 사진 모드’ 등에 필요합니다. Semantic Segmentation을 활용하여 사람인지 아닌지 구분하며, 사.. 2022. 10. 24. 이전 1 ··· 9 10 11 12 13 다음